✏️ [Network] 네트워크 기초 정리 (1)
1. 네트워크의 구조
1) 컴퓨터 네트워크란?
- 두 대 이상이 연결되어 있으면 컴퓨터 간에 필요한 데이터(정보)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다
- 데이터(파일) 전송, 웹 사이트 열람, 메일 송, 수신 등
2. 인터넷이란?
- TCP/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네트워크
- 전 세계의 큰 네트워크부터 작은 네트워크까지 연결되어 있다
- 전 세계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인터넷으로 해외 웹사이트를 볼 수 있다
3. 패킷이란?
-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 (택배라고 생각하면 된다 )
- 네트워크에서 전송하는 데이터의 기본 단위
- 큰 데이터가 있어도 작게 나눠서 보낸다. 이유는 큰 데이터를 보내면 네트워크의 대역폭을
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패킷의 흐름이 끊길 수가 있다
- 네트워크가 지연되어서 늦게 도착하거나 누락될 수도 있고, 순서가 뒤죽박죽 될 수도 있다
그래서 송신할 때는 각 패킷에 순서대로 번호를 붙여서 보내서 수신 측에서는 번호 대로 맞춰서 정렬을 할 수 있다
4 대역폭이란?
-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한 최대 전송 속도
-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단위 시간당 전송량
2.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
1) 디지털 데이터란?
- 모든 컴퓨터는 숫자 0과 1만을 다루는데, 그 0과 1의 집합을 디지털 데이터라고 한다
2) 비트와 바이트란?
- 0과 1의 정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를 비트(bit)라고 한다
- 비트 8개가 모이면 1바이트(byte)가 된다
3. 랜과 왠
1) 랜이란? (Local Area Network)
- 집, 회사, 학교 등 가까운 거리를 연결할 수 있는 좁은 범위의 네트워크
- 건물 안이나 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이다
- 집이나 회사 등 제한된 곳에서 컴퓨터와 프린터를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
- 좁은 범위를 수용하므로 신호가 약해지거나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낮다
2) 왠이란? (Wide Area Network)
- 도시, 국가, 대륙 등을 연결할 수 있는 넓은 범위의 네트워크
-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(ISP, Internet Service Provider)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해서 구축된 네트워크
- ISP는 우리가 잘 아는 SK 브로드밴드, KT, U+ 등을 말한다
-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ISP를 사용해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
- 넓은 범위를 수용하므로 신호가 약해지거나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
랜 | 왠 | |
범위 | 좁다 (건물 안이나 특정 지역) | 넓다 (랜과 랜을 연결) |
속도 | 빠르다 | 느리다 |
오류 | 적다 | 많다 |
4. 회사에서 구성하는 랜 네트워크
- 회사는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 서버를 회사 안에 설치하거나 데이터 센터에 두거나 클라우드를 사용할 수 있다
- 외부에 공개하는 서버는 웹 서버, DNS, 서버, 메일 서버가 있다
- 사내 또는 데이터 센터에 서버를 운영하는 것을 온프레미스(on-premise)라고 한다
- 랙(선반) 안에는 서버와 라우터, 스위치를 설치할 수 있는데 라우터는 무선 랜 기능이 있는 것을 많이 사용한다
- 각 서버는 스우치와 연결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다
- 컴퓨터, 프린트 등도 근처에 있는 스위치에 연결하거나 무선 랜 기능을 통해 랜에 연결해야 네트워크 사용 가능하다
1) 서버를 회사 안에 두고 운영하는 예시
내부망 용도 | 외부망 용도 |
웹 서버 | 웹 서버 |
DNS 서버 | DNS 서버 |
파일 서버 | 메일 서버 |
그 외 서버 | |
스위치 | 스위치 |
라우터 |
2) 서버란? (Server)
-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다른 컴퓨터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
3) 클라이언트란? (Client)
- 서버에서 보내주는 정보 서비스를 받거나 요구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
4) DMZ란? (DeMilitarized Zone)
- 외부에 공개하기 위한 네트워크
5) 데이터 센터란?
- 대량의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해서 데이터 센터 서버나 네트워크 기기를 설치한 전용 시설
6) 클라우드란?
- 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등의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
5. 네트워크의 규칙
1) 프로토콜이란?
- 통신을 하기 위한 규칙을 프로토콜이라고 한다
-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법, 정보의 형식, 에러 처리 등을 정의하여 정확하고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
6. OSI 모델과 TCP/IP 모델
1) OSI 모델이란?
-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모델
-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때 총 7가지 계층으로 나눠진다
- 보통 앞 글자를 따서 응표세전네데물로 외운다
계층 | 이름 | 설명 |
7계층 | 응용 계층(Application Layer) | 이메일 & 파일 전송, 웹 사이트 조회 등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 |
6계층 | 표현 계층(Presentation Layer) | 문자 코드, 압축, 암호화 등의 데이터를 변환한다 |
5계층 | 세션 계층(Session Layer) | 세션 체결, 통신 방식을 결정한다 |
4계층 | 전송 계층(Transport Layer) |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을 구현한다 |
3계층 | 네트워크 계층(Network Layer) |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 및 논리 주소를 결정한다 |
2계층 | 데이터 링크 계층(Data Link Layer) |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 및 물리 주소를 결정한다 |
1계층 | 물리 계층(Physical Layer) | 시스템 간의 물리적인 연결과 전기 신호를 변환 및 제어한다 |
2) TCP/IP 모델이란?
-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모델
- OSI 모델과 다르게 4계층으로 이루어져있다
계층 | 이름 |
4계층 | 응용 계층(Application Layer) |
3계층 | 전송 계층(Transport Layer) |
2계층 | 인터넷 계층(Internet Layer) |
1계층 | 네트워크 접속 계층(Network Access Layer) |
3) OSI 모델과 TCP/IP 비교
OSI 모델 | TCP/IP 모델 |
응용 계층 | 응용 계층 |
표현 계층 | |
세션 계층 | |
전송 계층 | 전송 계층 |
네트워크 계층 | 인터넷 계층 |
데이터 링크 계층 | 네트워크 접속 계층 |
물리 계층 |
'스터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Security, JWT 개념 정리 (0) | 2024.03.17 |
---|---|
[React] 리액트 설치 및 실행하는 방법 + 타입스크립트 버전 설치 (3) | 2023.12.19 |
VirtualBox에 설치한 리눅스에 Putty로 접속하는 방법 (0) | 2023.10.13 |
Virtual Box 설치 + 우분투(Ubuntu) 설치 (0) | 2023.10.12 |
AWS 버킷 만들기 + 사용자 생성 + 액세스 키 생성 (0) | 2023.10.12 |